'금강'에 해당되는 글 7건
- 2020.08.13 금강 인접 인삼밭 쑥대밭… 충남지사 총리 만나 용담댐 진상조사·보상책 요구
- 2019.04.18 "흰수마자, 환경개선? 금강, 도랑된 것"
- 2019.03.04 "보 해체는 금강 주인 충청인 우롱" 정치 쟁점된 4대강 보 해체 논란
- 2019.02.27 세금들여 물자원 버리는 금강 보 해체… 정치권 넘어 민심 갈등
- 2019.02.26 공주보 해체 반발 민관협의체 민간위원 전원 회의 거부
- 2018.08.13 혈세 ‘1100억원’ 금강~예당지 도수로 무용지물되나
- 2016.12.07 가뭄대비 도수로사업 '진퇴양난'
생태 환경 개선의 증표로 긍정적인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수량이 풍부했던 금강이 ‘개천’이나 ‘도랑’으로 전락했다며 부정적인 평가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에대해 일각에서는 환경 당국이 보 철거를 위한 ‘쇼’에 불과하다며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전(前)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인 박석순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최근 언론을 통해 "환경부가 보 철거 또는 상시 개방을 위해 흰수마자를 이용하고 있다"며 "흰수마자는 유속이 빠르고 수심이 얕은 개천에 사는 어류여서 금강과 같이 큰 강에 서식하지 말아야 하는 게 정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사람들이 흰수마자가 나타났다고 좋아하고만 있다"며 "이번에 흰수마자가 발견된 것은 금강이 '금도랑'이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두고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거세지자 환경 당국은 흰수마자가 금강에 살고있던 고유종이라며 해명에 나섰다.
[충청투데이 나운규 기자] 자유한국당이 금강을 포함한 4대강 수계 보(洑) 해체 방침과 관련, 정부·여당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슬라이드뉴스1-공주보1.jpg 슬라이드뉴스1-공주보1.jpg](http://ph.cctoday.co.kr/news/photo/201903/1194395_488915_3629.jpg)
자유한국당 지도부는 4일 공주보사업소에서 4대강 보 해체 저지 특별위원회를 개최하고 금강 수계 보 해체 방침에 대한 정부와 여당을 맹비난했다.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운데)와 정진석 특위 위원장, 정용기 정책위 의장 등이 공주보를 현장방문해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나운규 기자
▲ 백제보. ⓒ연합뉴스
혈세 1100여억원을 들여 건설한 금강~예당지 도수로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금강~예당지 도수로는 가뭄 시 예당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는 예당저수지의 고갈을 막기 위해 금강 물줄기를 끌어오는 목적으로 건설됐다. 그러나 건설 당시는 4대강 보 개방을 고려하지 않았지만 최근 수질악화에 따라 공주보 개방에 이어 백제보 개방 가능성이 나오면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13일 도수로 시행사인 농어촌공사와 충남도 등에 따르면 해당 도수로는 인근 보의 미개방을 조건으로 허가를 받고 사업이 시행됐다. 공주보 하류의 하천수를 끌어오는 만큼 공주보와 백제보 등의 수위를 고려한 조건이었고 보 개방에 대한 영향은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착공에 들어갈 당시에는 중앙정부의 기본 정책이 보 개방으로 흘러가지 않아서 큰 문제로 삼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인근 지역 지하수량과 상관관계가 있는 보를 개방해 수위를 낮출 경우 도수로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보 개방 시 수위가 낮아지면 지하수량도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 공주보에서 예당지로 용수를 넘길 경우 오히려 공주보 인근 농경지의 지하수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백제보를 개방하면 공주보에서 예당으로 용수를 넘기는 것은 힘들 것”이라며 “도수로를 쓰지 못할 수 있다. 정부차원이 아닌 이상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 ⓒ연합뉴스
상황이 이런 가운데 금강홍수통제소는 지난 9일 해당 도수로의 급수(1일 12만 9600t)를 허가했다.
예당저수지(총 저장량 4607만t)의 저수율이 9일 기준 29.3%으로 떨어지며 피해가 우려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급수가 시작된 이후 예당저수지의 저수율은 30.4%(13일 기준)으로 회복됐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서도 급수 중단을 주장하는 새로운 갈등이 발생했다.
앞서 해당 도수로의 첫 급수는 지난 8일 예정돼 있었지만 부여군을 상대로 한 백제보 인근 농민들의 민원으로 미뤄졌다.
해당 민원은 급수할 경우 백제보의 수위가 줄고, 결국 지하수에도 영향을 미쳐 인근 지역의 농업용수가 부족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에 농어촌공사와 홍수통제소는 해결책을 마련하기 전까지 급수를 미루고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돌연 9일 오후 6시경 급수를 허가했다. 해당 민원들이 가정에 의한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농어촌공사 등은 이후 명백한 근거를 포함한 민원이 접수될 경우 급수를 중단할 방침이다. 이 같은 실정에 대해 금강~예당지 농업용수 재편사업을 추진한 도는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도 관계자는 “보 개방과 관련해 알고 있는 내용은 없다”며 “시행사(농어촌공사)에서 관련 내용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강~예당지 도수로는 예당평야(6917㏊)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는 예당저수지의 상습적인 가뭄을 해소하기 위해 총 1126억 9000만원이 투입돼 총 길이 29.24㎞ 규모로 건설됐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조급했던 '금강~예당호 도수로사업' 무용지물 우려
금강~예당호 도수로 사업이 ‘무용지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충남 서북부지역의 가뭄 극복 특명을 띄고 예타마저 면제된 채 추진되고 있지만, 앞서 같은 이유로 개통된 금강~보령댐 도수로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등 금강~예당호 도수로도 결국 막대한 예산 낭비에 그칠 수 있다는 점에서다.
7일 충남도에 따르면 금강~예당호 도수로 사업이 2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금강~예당호 도수로 사업은 지난해 충남지역에 42년만의 최악의 가뭄이 도래하면서, 향후 충남지역의 가뭄을 대비코자 추진되는 사업이다. 특히 정부는 가뭄의 심각성을 고려, 예타 및 환경영향평가를 면제하고 국비 415억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문제는 예타와 환경영향평가 등 충분한 검토없이 추진됐다는 점에서 환경파괴가 우려되는 것은 물론, 같은 성격으로 개통된 금강~보령댐 도수로처럼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앞서 625억원을 투입해 개통된 금강~보령댐 도수로 역시 예타가 면제된 채 진행된 사업으로, 지난 2월 개통 이후 현재까지 고작 3회 운영에 그치고 있다. 운영 현황을 보면 △지난 2월 16일~지난 3월 16일(79만 2508t) △지난 9월 1일(2400t) △지난 9월 6~7일(3만 7613t) 등이다.
이에 금강~예당호 도수로도 금강~보령댐 도수로와 마찬가지로 예타 등 충분한 검토없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개통 후 비슷한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고, 도수로 건설 반대 입장에 선 이들은 도수로 사업 일시 중단 이후 예타, 환경영향평가 실시를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금강~예당호 도수로의 부작용을 걱정하는 이들의 의견이 철저히 묵살되고 있다는 점이다. 도가 금강~예당호 도수로 공사를 둘러싼 마찰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10월 4일 ‘금강~예당지 용수 이용체계 재편사업 협의회’를 구성, 운영하고 있지만, 협의회 성격이 강제성이 없고 권고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다.
협의회 소속 한 의원은 “현재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금강~예당호 도수로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조차 제공해주지 않고 있어, 협의회 운영이 사실상 멈춰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협의회 구성 당시 사업주체인 한국농어촌공사는 참여 자체를 거절했다. 이는 반대 입장을 듣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 10월 25일 열린 2차 협의회에서 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는 금강~예당호 도수로 건설 타당성 프레젠테이션 발표를 끝마친 뒤 반대 입장이나 토론에 참여하지 않은 채 퇴장하기도 한 만큼 도수로 건설 반대 주장이 철저히 외면되고 있음을 반증해주고 있다.
김명석 기자 hikms12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