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9일 대선]

15일부터 이틀간 후보 등록
등록 전후 1주일 지지율
역대 선거 최종결과와 일치

메인01.jpg
▲ SBS와 한국기자협회 공동으로 13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프리즘 타워에서 '2017 국민의 선택, 대통령 후보 초청 토론회'가 열렸다. 자유한국당 홍준표(왼쪽 부터),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정의당 심상정,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과 16일 양일간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 등록이 이뤄지는 가운데 승기를 잡기 위한 대선 후보들의 총력전이 계속되고 있다. 후보 등록일 전후의 지지율이 곧 대선 성적표와 동일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13일 지역 정가 등에 따르면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후보 등록 시점 전후 1주일의 지지율이 대선 결과에 그대로 반영됐다. 

2012년 18대 대선 당시 후보 등록일인 11월 25~26일 직후 한국갤럽이 실시한 ‘대선 양자 구도’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47%,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44%의 지지율을 각각 기록했다. 이후 3%p 격차는 본선까지 비슷하게(3.6%p) 이어지면서 박 후보가 당선됐다.

이보다 앞선 2007년 17대 대선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후보 등록일 전후로 다수의 여론조사 결과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와 20%p 격차를 보였고, 본선에선 26%p의 격차로 승리를 거머쥐었다.

시간을 더 거슬러 2002년 16대 대선 결과를 살펴보면 당시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42.4%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37.4%)를 5%p 앞선 것으로 조사됐고 실제 결과에서도 노무현 후보가 48.9%를 얻어 46.6%를 얻는데 그친 이회창 후보를 2.33%p 앞서며 당선됐다. 특히 헌정사상 처음으로 조기에 치러지는 이번 대선이 후보 등록일부터 선거 당일까지 20일 남짓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등록일 이후 첫 주 지지율이 사실상 대선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런 이유로 ‘양강 구도’를 보이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연일 네거티브 전략을 통한 맹공으로 지지율 1위 확보에 힘쓰는 모양새다. 각 정당 지역 시·도당도 이미 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을 갖고 본격 대선체제로 들어서거나, 막바지 대선체제 구축을 위해 분주한 상태다. 반면 일각에선 조기대선으로 인한 유동성은 물론 ‘후보 단일화’라는 보수진영의 불씨가 남아있는 만큼 역대 대선의 공식이 결코 쉽게 작용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따라 국민의당은 지역 기초의원의 잇단 입당에 따른 ‘안풍(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기자회견을 준비하는 한편, 추가 입당 인사를 포함한 선대위를 구축하며 세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갈 곳 잃은 중도·보수 세력을 포용하고, 문 후보의 지지기반을 흔들어 진보층까지도 넘보겠다는 전략이다.

이에 맞서 민주당은 15일 선대위 발대식을 갖고 전열 정비를 통한 지지율 안정화를 꾀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양강 구도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더 나은 정권교체’를 저울질하는 유권자를 흡수하기 위해 경선 과정에서 강조했던 ‘준비된 후보론’을 다시 한 번 선거운동 전면에 내세워 승리를 거두겠다는 계산이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http://www.cc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메인01.jpg
▲ ⓒ연합뉴스/ 사진편집 온라인뉴스부

헌정사상 유례없는 조기대선이 현실화되면서 이번 19대 대통령선거에서의 지역 공약들이 묻혀버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짧아진 선거 준비기간으로 인해 대선 후보들이 정책적 검토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한 데다, 국정농단 사태와 첫 대통령 탄핵과 구속 등 굵직한 전국발 이슈에 지역 공약들이 빛을 보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촛불’과 ‘태극기’ 등 대선이 이념갈등으로 흐르는 경향이 강한 데다, 선거 후 대통령 당선인이 인수과정 없이 곧바로 국정을 운영해야 하는 것도 지역 이슈를 묻어버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 경선에 이어 본선마저도 특정 후보가 일방적으로 앞서간다면 대선을 통해 지역 현안 사업을 해결하려는 자치단체들의 기대는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5월 9일 ‘장미대선’이 확정되면서 정당별 경선후보들은 충청권 공약으로 세종시의 행정중심도시 완성을 내놓았다. 청와대와 국회를 세종으로 이전하거나 국회 분원을 설치해 노무현 정부가 시작한 세종시 행정수도를 완성하겠다는 공약이 대표적이었다. 또 일부 후보는 대전을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육성하는 방안과 충남의 환황해권 중심도시 육성을 공약으로 내세워 충청권 지지를 호소했다.

이에 맞춰 대전시와 충남도도 지역 이슈를 대선 공약화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였다. 시는 국방 중소기업 전담기관인 ‘국방중소벤처진흥원’ 설립 등 4개 분야 20개 핵심과제를 각 정당에 전달했고, 충남도 역시 내포혁신도시 지정 및 공공기관 이전 등 12개 과제를 발굴해 대선 공약화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지역 이슈들이 대선 공약에 얼마나 반영돼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이미 본선이 시작되기 전부터 경선후보들이 내놓은 공약에 대한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대부분 공약들이 지난 선거에서 나왔던 공약을 재탕·삼탕하거나 구체적인 재원 마련 방안도 없어 현실성이 떨어지는 ‘뜬구름 잡기’식 공약이라는 지적이다.

육동일 충남대 교수는 “대선 기간 지역적 경쟁 과열과 갈등을 조정해야 하는데 짧은 선거 기간으로 인해 이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대로 선거가 끝나고 차기 정권에 의해 국정 운영이 시작되면 시행착오를 겪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육 교수는 이어 “특히 이번 대선은 다당체제와 이념갈등 속에서 많은 후보가 출마해 검토되거나 구체적 계획이 없는 공약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선심성 공약이나 예전 것을 재탕·삼탕하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이같은 문제점을 인식해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운규 기자 sendm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http://www.cctoda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