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로]

충청로.jpg
▲ ⓒ연합뉴스



▶'해'와 '바람'이 내기를 했다. 지나가는 나그네 옷을 벗기는 게임이었다. 바람이 먼저 나섰다. 휘휙~ 바람이 불자 나그네는 옷깃을 더 단단히 여몄다. 이번엔 해가 온기(溫氣)를 뿜었다. 그러자 나그네가 슬슬 외투를 벗기 시작했다. 힘만 믿고 불어댄 바람이, 서서히 내리쬔 해를 이기지 못한 것이다. 강한 것보다 부드러움이 더 강할 수 있다는 이솝 우화 '해와 바람'의 얘기다. 그런데 곰곰이 따져보면 모순이자 패착이다. '해'는 빛을 만듦과 동시에 그림자를 만든다. 어둠을 몰아내면서도, 어둠에 약하니 불완전한 존재다.


▶1998년 봄 햇살이 가득한 날, 영국을 방문한 김대중 대통령이 런던대에서 연설했다. 그는 '나그네의 두꺼운 외투를 벗게 한 것은 강한 바람이 아니라, 따뜻한 햇볕'이라고 했다. 북한의 변화를 화해·협력정책에서 찾은 것이다. 이후 '햇살'은 강하게 퍼져나갔다. 금강산관광이 시작됐고 분단 55년 만에 첫 정상회담이 열렸다. 온기에 휩싸인 남북한은 금방이라도 통일이 될 것 같았다. 하지만 2조원을 날름 받아먹은 북한은 4개월 뒤 장거리 미사일(백두산1호)를 쏘아 올렸다. 1차 핵실험도 했다. 이듬해부터는 강화도·여수 해안침투, 제1·2연평해전, 북핵확산방지조약 탈퇴, 잠수함 동해침투, 대포동 2호 발사를 강행했다. 아예 대놓고 까불었다. 결국 '햇살'과 바꾼 것은 평화가 아니라 '전쟁'이었다. '햇살'이 '햇살'을 유린했다.

▶(공치사지만) 금강산을 열어준 대가로 9800억을 줬다. 경수로 분담금도 4조원 가까이 냈다. 그것도 돈이 없어 할부로 집행했다. 식량도 250만t을 부쳐줬다. 여기에 낚인 미국(205만t)과 일본(100만t)도 양껏 지원했다. 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이렇게 바친 돈이 3조2826억원이다.(정확한 수치는 아니다. 이후 더 퍼줬을 테니까) 이 돈은 북한 형제들이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길 바라는 염원 때문에 준 것이다. 그런데 인민의 존엄은 없었다. 김정일과 김정은 배만 불렸다. 그들은 주지육림에 돈을 썼고, 핵과 미사일을 만들었다. 겉만 비추는 햇볕이었다. (지금의 햇볕도 마찬가지다) 일부 대선주자는 '북한과 대화하자'고만 떠든다. 북한이 '미사일'을 쏘면 빌빌대면서, 사드 얘기만 나오면 난리를 치고 있다. 사드는 안 되고 북한 미사일은 되는가. 이런 매국도 없다.

▶트럼프의 '앵그리'가 차라리 낫다. 트럼프는 '북한이 우리를 가지고 놀았다'며 격분한다. 한주먹거리도 안 되는 게 까불어대니 같잖은 것이다. 더 이상 어르고 달래면서 눈치를 보지 않겠다는 선언이며 '햇볕'으로 장난치는 조공외교·굴욕외교를 접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협박해서 돈 뜯어내고, 돈 떨어지면 다시 협박하는 건 깔본다는 뜻이다. 갖고 노는데 가만히 있으면 더 깔본다. '햇볕'은 날것이다. 부드럽지만 부러진다. 지금 필요한 건 햇볕이 아니라, 햇볕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다. 

나재필 편집부국장 najepil@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탈북자 "김정남, 김정은과 다르지 않았을 것… 北에 남겨진 가족 걱정"






사진/ 연합뉴스




“북에 남아있는 형님과 처가 식구들이 혹시나 해를 입지 않을까 남으로 넘어온 우리는 하루하루 걱정 속에 살아갑니다.”

탈북자 김용진(38·가명) 씨는 최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벌어진 ‘김정남 피살 사건’을 처음 접하는 순간 북에 두고 온 가족을 가장 먼저 떠올렸다고 한다. 

2008년 말 가까스로 탈북에 성공한 김 씨는 탈북을 결심한 이유에 대해 “북에서 생활하며 남한 소식을 간간히 접할 때마다 북한 체제가 확실히 잘못됐음을 느꼈다”면서 “‘철창없는 감옥’을 벗어나 미래를 찾고자 결국 탈북을 감행했다”고 밝혔다. 북한에서 지낼 당시 무역업에 종사했던 김 씨는 ‘지도원’의 자리에서 근무한 덕분에 경비대와의 접촉이 잦았다. 이를 통해 비교적 안전한 경로의 정보를 얻은 김 씨는 부모님과 아내를 데리고 무사히 대한민국 땅을 밟았고, 현재 직장생활을 하며 나름의 정착생활을 이어오고 있다.

‘과거의 북한 인민’의 입장에서 이번 사건을 바라본 그는 일각에서 일어나고 있는 김정남에 대한 지나친 우상화가 매우 거북하다고 조심스레 말한다. 김 씨는 “과거 김정남이 세습 반대나 개혁 개방을 주장했다는 이유로 김정남 체제의 북한은 지금과 달랐을 것이라는 외부적인 시선은 잘못된 것”이라며 “김정남 역시 지도자가 아닌 독재자의 삶을 살았을 것이 명백하기 때문에 탈북자나 북한 인민들에겐 ‘의미없는 죽음’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번 사건이 북한 내부적으로도 동요를 일으킬 가능성이 희박하다는게 그의 설명이다. 사실상 북한의 고위층을 제외하고선 김정남의 존재는 물론 김정은의 자세한 가족관계 조차 거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김 씨는 “김정은 체제 이후 거듭된 고위직 처형·숙청이 이어지면서 권력 기반을 공고히 다지고 있다”면서 “김정남 피살 역시 자신의 확고함을 알리기 위한 조치이거나, 김정은을 따르는 일부 세력의 과잉충성이 불러온 결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사건을 지켜본 김 씨에게 걱정으로 다가오는 것은 무엇보다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들의 존재라고 한다.

이번 사건은 물론 이른바 ‘공포정치’의 연장선에서 거듭되는 김정은의 고위층 숙청이 탈북자에 대한 경고 메시지로 와 닿기 때문이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