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구제역 현장 르포… 젖소 195마리 한순간 '파리목숨'






충북 보은 마로면 관기리 주변 축사 밀집
구제역 발생농장중심 500m안 12농가
진입로 차단 … 일반인출입 불가
보은가축시장 당분간 폐쇄조치






6일 구제역이 발생한 충북 보은군 마로면의 한 젖소 농가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중장비를 동원, 살처분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구제역이 발생한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는 축사가 밀집된 곳으로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을 중심으로 반경 500m 안에 12농가가 655마리의 소를 사육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마을 진입로를 차단하고 통행차량을 일일이 확인하며 일반인 출입이 불가능하다. 축산 밀집지역이다 보니 구제역이 주변 농가로 번질 가능성도 그만큼 크다.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은 195마리의 젖소를 사육하는 대규모 농장으로 10여마리의 소가 침을 흘리고, 일부는 젖꼭지에 수포까지 생겼다는 농장주 신고를 받은 방역당국이 곧바로 간이 키드검사에 나섰으며, 구제역 양성반응을 확인했다. 곧이어 정밀조사에 나선 농림축산검역본부가 혈청형 O형 타입의 구제역으로 최종 확인하면서 이 농장은 올해 전국 첫 구제역 발생농장이 됐다. 

군은 6일 미생물을 이용해 가축사체를 분해·발효시키는 호기호열 방식으로 살처분한 젖소의 매몰작업을 끝냈다. 농장주 A 씨는 "자식같은 소들을 땅에 묻는 심정이 죽고 싶을 지경"이라고 말했다. 

군은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반경 3㎞ 안의 모든 우제류(소·돼지·염소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가축) 농장을 이동제한하고, 500m 안에서 사육되는 소 460마리에 대해서는 백신을 다시 긴급 접종했다. 

보은·옥천·영동축협도 6일 관내 젖소농장에서 발생한 구제역 확산을 우려해 보은가축시장을 폐쇄했다. 이곳에서는 전자경매형태로 소를 거래하며 하루 평균 송아지 180마리와 큰 소 70마리가 거래돼 도내 가축시장 중 거래량이 가장 많다. 

축협 관계자는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종식될 때까지 시장을 열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이 축협이 운영하는 옥천가축시장은 종전대로 운영된다. 

보은가축시장이 문을 닫은 것은 2015년 1월 보은읍 지산리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2년 만이다. 

구영수 보은군 농축산과장은 "앞으로 1주일 정도가 구제역 확산 여부를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이 기간 거점소독소를 확대·운영하는 등 방역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보은은 그동안 가축 전염병 청정지역으로 분류되던 곳이다. 전국적으로 구제역이 확산됐던 2015년 1월 보은읍 지산리의 한 돼지농장에서 구제역이 터졌지만, 단발성으로 끝났다. 

지난 11월부터 전국에 확산된 조류인플루엔자(AI)도 없었기 때문에 축산농민들이 느끼는 불안감은 더욱 크다. 

송석부 보은군축산단체연합회장은 "관내에서 소 구제역이 발생한 것도 처음이지만, 젖소 195마리가 한꺼번에 살처분된 충격적인 상황도 초유의 일"이라며 "축산농가마다 혹시 모를 전염원을 차단하기 위해 외부인 출입을 막는 등 긴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은=박병훈 기자 pbh0508@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내포신도시 소·돼지·닭 25만여 마리 분뇨에 삼겹 포위






사진/ 내포신도시(빨간색 선) 반경 2km에는 25개 농가(노란색 선)에서 돼지, 소, 닭 등 12만 4000여마리의 가축이
        사육되고 있다.






“악취가 너무 심해 더워도 창문을 꼭 닫고 생활했어요. 새벽에 코를 찌르는 악취에 깜짝 놀라 잠을 깬 적도 한두번이 아니에요.”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됐던 지난 여름, 충남 홍성·예산에 조성된 내포신도시 주민들은 시도때도 없이 발생한 축산악취 문제에 이 같이 입을 모았다.

올해로 조성 4년차를 맞는 내포신도시의 축산악취 문제가 해결의 실마리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

충남도청, 충남교육청, 충남경찰청 등 주요 기관이 이전한 2013년부터 "축산악취에 시달린다"는 내포신도시 주민들의 민원은 지속돼 왔다. 충남도와 홍성군 등 내포신도시 지자체들은 수 년간 지속된 집단 민원 해결을 위해 축산악취 저감에 대책을 마련·추진하고 있지만 전혀 효과가 없다.

오히려 악취 관련 민원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악취에 지친 일부 주민들은 어렵게 정착한 내포신도시를 벗어나 다시 이사하고 싶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악취의 주 원인은 내포신도시와 맞닿아 밀집해 있는 축사들이다.

현재 내포신도시 반경 5㎞ 내에 있는 홍성군 홍북면과 예산군 삽교읍·덕산면에는 모두 448곳의 농가에서 돼지, 소, 닭 등 25만 1000여마리의 가축이 사육되고 있다.

반경 2㎞ 내로 좁히더라도 25개 농가에서 돼지, 소, 닭 등 12만 4000여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결국 내포신도시 옆에 축사가 붙어 있는 형세로, 안방에 떡 하니 재래식 화장실이 자리잡고 있는 상황과 마찬가지인 셈이다.

축사가 인접하다보니 축사 내부나 가축 분뇨 등에서 발생한 악취가 바람을 타고 내포신도시로 유입되면서 악취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매년 여름철 축산악취 민원이 집중되는데 이는 축산농가들이 폭염이 지속되면서 축사 내부 온도 등을 낮추기 위해 환풍기를 평소보다 많이 가동하는 것에 기인한다. 또 장마철 등 궂은 날 저기압 상태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어 가축분뇨 저장시설에서 발생한 냄새가 내포신도시 아파트 단지로 넘어와 축산악취가 더욱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는 축산악취 문제가 더욱 공론화됐고, 관련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주민들의 요구와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 내포신도시 내 아파트 단지의 입주가 본격 시작된 가운데 해당 아파트 단지들이 타 아파트 단지에 비해 축산단지와 비교적 근접해 있고, 기록적인 폭염으로 축사 환풍기 가동 횟수가 증가했다.

여기에 아파트 주민들은 열대야로 창문을 열어놓고 살다시피하다 보니 악취의 강도는 평소보다 2~3배 더 심하게 느껴졌다.

내포신도시는 2013년 조성 당시 2020년까지 인구수 10만명을 목표로 한 바 있다. 하지만 정주여건 개선 미흡으로 인구유입이 더뎌졌고, 현재 내포신도시는 2만명이 채 안되는 미니도심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제 내포신도시의 축산악취 문제는 단순한 지역적 문제를 벗어나 충남도정의 주요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도와 군도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고 있지만, 축사 이전·폐업 등 근본적 대책 마련에는 난색을 보이고 있다. 막대한 예산 때문이다. 도와 군은 예산 부담 비율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내포신도시에 살고 있는 한 공무원은 “기반시설도 부족한 상황에서 지독한 악취까지 나는데, 누구한테 ‘명품도시 내포’로 이사하라고 하겠느냐”라며 “대전에서 이곳으로 따라온 가족들에게 미안한 생각도 든다”라고 했다.

내포신도시 주민들은 내년 여름이 벌써부터 두렵다고 한다.

김명석 기자 hikms12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